본문 바로가기

사주기초풀이

통관용신(通關用神) https://www.youtube.com/watch?v=I29lm3FoMgw&t=5s 통관용신은 통(通: 통할 통) 관(關: 관계할 관) 즉 사주팔자에서 두 가지 기운(오행)이 서로 대립을 할 때 중간에서 관계하여 통하게 하여 주는 기운(오행)이 바로 통관용신입니다. 가교(架橋)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사주팔자로 예를 들어볼께요. 坤命 戊 丁 丙 丙 申 未 申 寅 일간은 여린 촛불입니다. 바로 옆 월간에 큰 태양이 있어서 촛불은 기쁘기만 합니다. 년간에도 큰 태양이 있네요. 년지에서 木生火를 해주니 불기운이 상당히 커졌습니다. 월지, 시지의 쇠기운들이 녹을까... 염려가 됩니다. 火剋金으로 말입니다. 그런데... 시간과 일지에 큰 땅과 작은 땅... 눈치 채셨나요? 이 흙기운들이 통관용신입니다. 불기운.. 더보기
조후용신(調候用神) https://www.youtube.com/watch?v=bBFxf0dd4XQ&t=5s 사주팔자는 음양오행으로 구성이 됩니다. 그 음양오행에는 각자의 온도가 있는 것입니다. 조후용신은 조(調: 조절할 조) 후(候: 기후 후) 즉 사주팔자에서 너무 뜨거운 기운(오행), 너무 차가운 기운(오행), 너무 건조한 기운(오행), 너무 습한 기운(오행) 등 사주팔자에 기후를 알맞게 조절하여 주는 기운(오행)이 바로 조후용신입니다. -사주팔자로 예를 들어볼께요. 乾命 壬 己 己 甲 申 未 巳 寅 己土 일간으로 주변을 보니 일간을 도와주는 기운(오행)들이 보입니다. 년주에 나무들이 월지 巳火에게 生을 해주어 불이 크게 일어납니다. 강한 불기운으로 일간 己土, 월간 己土, 일지 未土 메마른 땅이 되어 쩍쩍 갈라지려 합니.. 더보기
억부용신(抑扶用神) 용신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억부용신(抑扶用神) 조후용신(調候用神) 통관용신(通關用神) 먼저 억부용신에 대해 알아보자고요. 억부용신은 억(抑: 누를 억) 부(扶: 도울 부) 즉 사주팔자에서 너무 강한 기운(오행)은 눌러주고, 너무 약한 기운(오행)은 도와준다는 것입니다. 사주팔자를 위해서 가장 노력하는 기운(오행)이 바로 억부용신인 것입니다. -사주팔자로 예를 들어볼께요. 乾命 戊 癸 丙 乙 午 亥 戌 未 일간이 이슬비와 같습니다. 내편을 찾으니 일지에 큰 물이 있네요. 그리고 戌土안에 쇳조각이 있고요. 나머지는 모두 상대편입니다. 일간의 힘이 약하네요. 약(弱)사주가 되었지요? 그렇다면 일간인 癸水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오행은 누구일까요? 바로 亥水가 됩니다. 그러므로 亥水가 억부용신이 되는 것입니다.. 더보기
사주팔자의 통관(通關) 통관(通關)이요? 通(통할 통) 그리고 關(관계할 관) 즉 통하여 관계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로 흐르다 막히면 통관이 되지 않아 물이 썩게 됩니다. 인간끼리 서로 통(通)하지 않으면 다툼과 시비가 발생합니다. 역시 통관이 되지 않은 것입니다. 자...사주팔자도 막히지 않고 통관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무엇이 통관이냐고요? 木生火生土生金生水生木生火... 이것이 통관입니다. 통관(通關) 예를 들어 볼께요. 坤命 甲 丙 戊 丙 午 戌 戌 子 일간이 큰 불기운입니다. 자...시간에 큰 나무가 일간인 큰 불과 시간에 작은 불을 생조(生助)합니다. 즉 木生火가 되었습니다. 불 세력이 많이 강해졌지요? 그 강한 불기운이 일지, 월지, 월간에게 火生土를 합니다. 년간에 큰 불기운도 火生土를 하고요. 우~와 흙의 기운.. 더보기
사주팔자의 온도(조후調候) 각 나라마다 온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사계절에 따른 온도의 변화가 있는 것입니다. 소우주인 인간의 몸도 적절한 온도가 있는 것이고요. 음양과 오행으로 이루어진 사주팔자에도 온도를 감지하셔야 합니다. 너무 뜨거운지, 찬(冷)지 그리고 습(濕)한지, 건조한지, 축축한지, 따뜻한지 등...말입니다. 이렇듯 사주팔자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사주팔자의 조후(調候)라고 합니다. 사주팔자는 분명 음양과 오행이요, 이 음양오행은 자연(自然)인 것입니다. 그 자연 조건이 어떻느냐에 따라, 살기가 좋은지, 살기가 열악한지 등이 구별이 되며, 이것이 삶의 질(質)로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주팔자의 온도인 조후는 강약(强弱) 만큼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입니다. 坤命 丁 辛 辛 丙 酉 未 卯 寅.. 더보기
사주팔자의 강약(强弱) 사주팔자를 풀려면 처음에는 강한지...약한지....를 반드시 강약(强弱)을 가늠해야 합니다. 坤命 甲 癸 己 甲 寅 巳 巳 午 자...위 사주팔자의 강약을 논(論)해 보자고요. 우선 강하냐? 약하냐? 입니다. 일간이 이슬비와 같은 癸水입니다. 물을 돕는 오행은 물과 쇠입니다. 사방을 아무리 둘러 보아도 일간 외엔 물이 없지요? 사방을 아무리 둘러 보아도 쇠가 없지요? 물론 일지와 월지 巳火안에 쇠가 있지만, 역시 내 편이 태부족합니다. 반면 상대편인 甲木, 寅木, 巳火, 午火 등 막강합니다. 그러므로 사주팔자가 약한 것입니다. 乾命 丙 辛 壬 己 申 未 申 未 일간이 예리한 쇳조각인 辛金입니다. 쇠를 돕는 오행은 쇠와 흙입니다. 시지, 월지에 큰 쇠인 申金이 있네요. 그리고 일지, 년지, 년간에 未土와 .. 더보기
사주팔자에서 내편과 상대편 찾기 *오행(五行)의 상생(相生) -내편 모름지기 내편이 많으면 나는 강해지는 법이요 상대편이 많으면 나는 약해지는 것입니다. 사주팔자에서도 내편과 상대편이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확실하게 구분을 하셔야 합니다. 乾命 戊 庚 丙 甲 寅 子 子 寅 위 사주팔자의 주인공 즉 나(我)는 庚金(일간)입니다. 내편을 찾아 보도록 할께요. 우선 쇠를 도와주는(生) 오행들을 찾으면 되겠지요. 쇠를 생하여 주는 것은 흙이죠?(土生金) 시간에 戊土가 있네요. 그리고 시지와 년지 寅木 지장간 안에 戊土들이 있네요. 자...내편은 나를 생(生)하여 주는 오행들 맞습니다. 한편 나와 같은 오행도 내편인 것입니다. 아...그런데 나와 같은 오행인 쇠가 없네요. 그렇습니다. 내편은 두 종류가 있는 것입니다. 나를 생(生)하여 주는 오.. 더보기
지장간을 살펴보셔야 합니다 사주팔자 여덟 글자를 살펴보셨다면 다음에는 반드시 지장간을 살펴보셔야 합니다. 坤命 壬 癸 壬 丙 子 卯 辰 寅 지지에 네 글자 지장간을 살펴봅니다. 년지에 寅木이 있습니다. 寅木 안에는 戊土와 丙火 그리고 甲木이 있습니다. 월지에 辰土가 있습니다. 辰土 안에는 乙木과 癸水 그리고 戊土가 있습니다. 일지에 卯木이 있습니다. 卯木 안에는 甲木과 乙木이 있습니다. 시지에 子水가 있습니다. 子水 안에는 壬水와 癸水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다소 힘들고 불편하시겠지만 사주팔자에 지장간을 써 좋고 풀기보다는 눈으로 읽으시는 연습을 권해 드립니다. 더보기